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29)
잡담 (46)
일상 (15)
생각 (11)
(20)
전시 (15)
영화 (4)
CF (9)
연극 (6)
공연 (2)
음악 (1)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09. 6. 25. 06:32
혈의 누
감독 김대승
출연 차승원 박용우
2009. 06. 21. 일요일 오후 8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티홀에서 출발한 차승원에 대한 관심으로 찾아 본 영화 중 마지막으로 본 영화다. 대충 19세기 조선에서 영화 [세븐]이 펼쳐진다고 생각하면 되는 줄거리인데, 사극이라는 장르 내에서 범죄 수사물을 시도하는 것이 무척 신선했고, 상세한 고증도 좋았다. 거기에 단순한 사극인 것이 아니라 근대로 넘어오는 19세기의 조선을 배경으로 한 덕에 드러나는 시대의 과도기적 특징들도 재미있었고, 또 그러한 부분들이 단순히 극의 배경으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핵심 줄거리를 관통하고 있는 것이 꽤나 맘에 들었다. 2005년의 영화인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새롭고 신선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약간은 우리 영화에 대한 자부심도 가지게 해 주었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쳐지는 상황 전개가 약간은 지루하기도 했다. 그리고 재밌게도, 지금 시티홀에선 차승원과 정략 약혼한 사이로 나오는 김세아가 극중 주요 피해자 중 한명으로 등장한다 ㅋㅋ


사실 정작 하고 싶은 얘기는 -
영화 속에서 이원규(차승원)가 아버지로부터 받았던 질문을 김인권(박용우)에게 소개해 주는 장면이 있다.
지름이 60보인 원에 내접하는 정오각형의 밭이 있습니다. 이 밭엔 3평방보에서 수확되는 보리의 양이 30되 인데, 9명의 소작농이 일년 동안 일해 나온 보리의 8할을 지주가 갖게 됩니다. 어느 해 흉년이 들어 이 밭의 3할에서만 보리가 수확되었다면, 지주가 가져야 할 보리는 몇 섬입니까?
처음 김인권은 (놀라운 암산 능력을 보이며) 34섬이라고 대답하는데, 이원규는 틀린 답이라고 한다. 영화가 한참 진행되고 난 후 다시 둘은 이 질문에 대한 얘기를 나누는데, 김인권은 자기가 실은 답을 알았다며, 지주가 보리를 받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으면,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뜨끔 하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저 대화를 보고 그런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얼마전 연극 코펜하겐에 관한 글에서 했던 과학의 가치중립성에 관한 얘기가 떠올랐다. 저 질문에 대해 34섬이라고 대답하면 수학자가 되고, 보리를 받지 않아야 한다고 대답하면 군자君子가 되는 것일거다. 순수한 학문이라 할지라도 그 밑에는 '인간'이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되어야 하는 건데, 현실에의 끈을 놓은 채 (혹은 잘못된 현실과의 끈을 가진 채) 학문의 영역 내에서만 살아가다 보면 어느덧 시야는 좁아지고 나도 모르게 지주가 34섬을 받아야 한다고 결론짓게 될지도 모른다. 분명 수학은 가치중립적인데, 군자의 도道는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그렇다면, 나는 수학자일까 군자일까. 저 대사에 뜨끔했다는 건, 이제 고작 학부 2년을 마친 나조차도 그 학문이라는 우물 속에 어느정도 함몰되기 시작했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을까. 앞으로 내 인생에서 마주칠 수많은 저러한 질문들 앞에서, 나는 과연 군자의 대답을 할 수 있을까. 그리고 단순히 대답만 하는 것을 넘어서서, 군자로써 행동할 수 있을까.
2009. 6. 20. 08:11
그렇습니다.
9월 14일 논산에서 입대합니다.
절대 붙을리가 없다고 생각했던 그 어학병 시험에 붙어버렸네요 ㅎㅎ

군대를 가는 길에 시험/합격이라는 과정이 속해 있어서인지
결국 군대에 오라는 통지인건데 그걸 보고 좋아라 하고 있는게 뭔가 웃기기도 합니다만..

아무튼 이제 진짜 가는군요.
2009. 6. 15. 04:29
연극 코펜하겐
2009. 06. 04. 목요일 저녁 8시 두산 아트센터
마이클 프레인 작
윤우영 연출
남명렬, 이상직, 김호정 출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와 독일의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는 절친한 동료이자 사제지간이었지만, 2차 대전이 발발하면서 독일은 덴마크를 점령하고 둘의 관계는 소원해진다. 그런 상황의 어느날, 하이젠베르크가 보어의 집을 방문하는데...


하나. 과학연극
두산아트센터 과학연극시리즈의 세번째 작품이다. 처음 '과학연극'이라는 문구를 보고는 나도 모르게 피식 웃어버렸던 기억이 난다.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연극인 이상 연극 속에 등장하는 과학은 어디까지나 소재이고 매개체일 뿐 연극의 목적 자체는 물론 아니지만, '과학연극'이라는 표현에서 일반 대중은 얼마나 큰 거리감을 느낄까. 막연한 거부감 내지는 아동용 교육 연극일거 같다는 느낌을 가질 것만 같다.


둘. 물리학
관극하기 전 과연 전문적인 핵물리학에 관한 내용을 일반 관객에게 어떻게 풀어서 설명할까에 대해 많이 궁금했다. 극에서는 보어와 하이젠베르크뿐만 아니라 보어의 부인인 마가레트도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 보어와 하이젠베르크는 대화 중간중간 물리학자가 아닌 마가레트에게 내용을 좀더 쉽게 풀이해서 설명해준다. 이것이 바로 관객이 극 속 물리학적인 내용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적인 장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치는 극의 전반부까지는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했는데, 아마 전반부에서는 핵물리학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는 관객도 충분히 내용을 따라 갈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후반부에서는 좀 더 복잡한 내용들이 좀 더 빠른 속도로 쏟아져 나왔다. 좀 더 빨랐으면 나도 숨이 찼을 것 같은 속도였으니까 일반 관객들은 꽤나 많이 당황했을 것 같다. 지나친 부연설명이 극의 긴장감을 떨어뜨린다는 걸 생각하더라도,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었다. 

아마 연극 배우들도 이런 대사는 평생 해본 적 없었을텐데, 그래서인지 내가 본 연극 중 배우의 대사 실수가 가장 많은 연극이었다. ^^


셋. 미필적 고의
중2때였나, 로빈 쿡의 의학소설을 처음 접했을 때, 그의 책 중에 '미필적 고의'라는 제목을 가진 책이 있었다. 있어보이는 단어에 신기해하며 무슨 뜻인가 일부러 찾아봤던 기억이 있는데, 연극을 보고 오랜만에 그 단어가 떠올랐다.

연극이 다루고 있는 좀 더 깊이 있는 주제라면 인간과 세상의 불확실성/임의성과 같은 얘기들도 할 수 있겠지만, 나름 과학에 몸담고 있는 나로써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연극의 주제만해도 감당하기 힘들었다. [물리학자에게 원자력을 연구할 윤리적 권리가 있는가?] - 아마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이 투하된 이후의 수많은 물리학자들이 고민했을 문제일 것이다. (직접적으로 원폭 개발에 최선을 다한 맨하탄 프로젝트같은 경우를 제외한다면) 물리학 자체는 물론 가치중립적이지만, 새로이 발견하고 개발된 기술과 원리들이 악용되어 윤리적으로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이제 과학자들은 직접적으로 느끼고 있고, 또 느껴야 한다. 악용될 가능성 때문에 새로이 개발될 기술의 긍정적인 면을 포기해서도 물론 안되겠지만, 최선을 다해 그 악용될 소지를 없애고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악용될걸 알면서도 - 그정도는 어쩔 수 없는 거잖아 - 하는 마음가짐이라면 과학자들에게 미필적 고의를 물을 수 있지 않을까. 내가 그정도로 최전선의 학문에 서게 될 지는 모르겠다만 (^^) 그렇게 된다면 아마 두고두고 나를 괴롭힐 문제가 될 것 같다.


넷. 두산아트센터
나는 대기업이 이런 식으로 문화 사업에 돈을 붓는 것에 대해 대환영 한다. 건물도 멋지고, 내부공간도 멋졌다. 덕분에 즐거운 사람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