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품'에 해당되는 글 1건
2009. 3. 31. 04:29
[전시/이탈리아]
바티칸 Vatican City
2009/01/03
바티칸은 명성이 자자한 바티칸 투어를 신청했다. 결과적으론 썩 나쁘지 않았고 많은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괜한 나의 성격은 투어 가이드와 좀 떨어져서 멀찍이 따라걸어가게끔 했다.
1) 추기경 친구
바티칸에서의 예술 감상의 정점은 결국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과 천지창조일 것이다. 길고 긴 설명 끝에 두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는데, 관광객으로 시끄럽게 북적거리는 상황에선 역시나 편안한 감상은 힘들었다. 이번 여행에서 두고두고 생각한 거지만, 진짜 주교나 추기경급의 친구를 하나 사귀고 싶었다. ㅋㅋ 그럼 개장 시간 외의 시간에 친구따라 들어가서 홀로 여유롭고 조용하게 감상할 수 있지 않을까.
2) 미술 작품의 감상
최후의 심판과 천지창조를 보면서 생각했다. 위대한 작품이란 무엇일까.
진짜 전공자가 보면 미켈란젤로의 그림이 생동감이라던가 색감이라는 면에 있어서 탁월하게 다를 수도 있을거다. 하지만 솔직히 나는 (그리고 대부분의 관객은) 그런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그리고 그림의 수준 자체가 다른 화가의 그림보다 뛰어나다 할지라도, 사실 최후의 심판과 천지창조를 놓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감탄은 그림의 아름다움 자체보다도 그 규모에 있을 것이다. 그 짧은 시간에 개인이 이렇게나 거대한 작품을 완성했다는 것에 대해 경탄하고 감동받는다. 천지창조를 보고 우리가 나누는 얘기는 - 5분간 천장화를 감상하는 것도 목이 아픈데 어떻게 이걸 목을 젖힌채 5년동안 그렸을까 - 정도의 얘기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미술작품이 아니라 그 노력에 감동하고 감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만약 우리가 똑같은 규모와 똑같은 수준의 그림을 100명의 화가가 부분부분 나누어 완성했다면,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에 보내는 것과 같은 찬사를 보낼까? 나는 그렇지 않을 것 같았다.
오랜시간 인내하여 완성했다는 사실 자체도 물론 존경할 만한 것이긴 하지만, 그것은 그의 끈기와 인내심에 대한 존경이지 미술적 가치에 대한 존경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러한 끈기와 노력을 많은 사람들이 [못] 발휘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나는 [안] 발휘하는 것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미켈란젤로야 4년이 걸려서 완성했다지만, 다른 모든 환경적 요소들을 누군가 뒷받쳐 줘서 신경쓰지 않을 수 있다면, 나같은 사람도 100년동안 매달리면 천지창조 그릴 수 있지 않을까?
물론 그 100년간의 매달림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여기까지 생각이 닿자 혼란스러워졌다.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은 아마 [하면 안되는 것은 없다]라는 나의 가치관의 영향이 클 것이다. 그렇다면 도데체 나는 그림에서 무엇을 찾고 있는 것일까? 내 논리대로라면 노력으로 뛰어넘을 수 없는 타고난 재능만을 높게 평가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다시금 [하면 안되는 것이 있다]라는, 전제와 모순되는 결론을 낳을 뿐이다.
그렇다면 대체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뭘까? 우리는 미술 작품의 무엇을 보아야 하는 것일까? 오랜시간 인내하여 작품을 완성한 그 인내심? 아니면 정말 타고난 천재성? 미술 작품 탄생까지에 있었던 뒷 배경 이야기? 무엇이 진짜 [미술]일까.
3) 진품
바티칸의 피나코테카의 그림 중에 아주 유명한 몇몇개의 그림은 외부 전시에 대여 중이었고, 덕분에 모조화를 전시장에 걸어 놓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아쉽게 됬다는 가이드의 설명과 그 설명에 아쉬워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다시한번 사람들의 [진품]에 대한 집착에 대해 생각해 봤다. 나는 도데체 묻고 싶다. 진품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똑같은 모조품이라면, 그 진품과 똑같은 미술적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닌가? 진품과 원작자가 갖는 가치는 미술사에서 그 사람이 첫 사람이라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것일 뿐이지, 미술적 가치는 작품만으로 따져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모조품과 진품에 미술적 가치의 차이가 과연 있을까? 그림 제대로 볼줄도 모르면서 뭘 진품을 따지냐고 묻고 싶은게 아니다. 진짜 그림을 볼 줄 안다고 할지라도, 굳이 진품을 따질 필요가 있는지를 묻고 싶은 거다. 이렇게 비유하면 어떨까, 소설책의 초판이 10쇄판보다 우열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고. (물론 수집가들은 이런 점도 따지지만 ㅎㅎ)
4) 베드로 성당
베드로 성당은 거대했다. 그 모든 것들이 대리석이란 얘기에 믿을 수 없었다. 그리고 당연히, 매우 부정적인 나는 면죄부 생각을 했다. 그 정도가 얼마나 심했는지 약했는지를 떠나서, 우리가 알고 있는 나쁜 의미로써의 면죄부 판매를 통해 베드로 성당 건축비를 어느정도 조달한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일거다. 하지만 그런 부끄러운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매해에도 수만 수십만명씩 베드로 성당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은 꾸준히 입장료를 바티칸에 기부하고 있는 거다. 카톨릭 교회라는 단체를 대표하는 성당으로 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남는 건 과정이 아닌 결과일 뿐이라는 그 뻔한 역사적 진실이 정치나 종교나 이렇게도 똑같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왜 사람들은 정치는 지저분하고 종교는 숭고하다고 생각하는 걸까. 그런 베드로 성당을 제일 숭고한 성당인척 엄숙하게 방문하는 사람들도 교황청도 역겨운 기분이 들었다.
아 물론, 지나치게 부정적인 생각이란 것도 잘 안다. 그래서 그냥 번뜩 생각하고 씌익 웃고 말았다. 저런 식이면 떳떳할 수 있는 사람/것은 이 세상에 아무것도 없을거다.
으음... 써놓고 보니 해본 생각들이 다 너무 비관/비판적이네...
그리고 좋았던 작품들.
같이 갔던 친구랑 이 그림은 우리가 싫어 할 수 없을거라는 얘기를 했다. 완벽한 원근법 등등의 얘기들을 다 떠나서라도, 지식과 지혜를 상징하는 그 모든 고대의 인물들을 모아놓았다는 사실은 우리가 그림을 좋아할 수 밖에 없게 했다. 가운데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그 이름만으로도 멋있다.
그림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장엄함/숭고함의 절정 중에 하나일 것 같다.
드디어 봤다. 라오콘. 한 240도 돌아가면 자세히 구석구석 본 거 같다. 만져보지 못한게 못내 아쉽다.
작자 미상의 전설적 조각작품. 교황이 미켈란젤로에게 사라진 부분들을 채워보라고 시켰지만 - 감히 이 작품을 저따위가 건드릴 수는 없습니다 - 라고 말하며 거절했다고 한다. 힘이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어우, 저 허벅지 실제로 보면 정말 쩐다. 남자가 봐도 섹시해 ㅋㅋㅋ
2009/01/03
바티칸은 명성이 자자한 바티칸 투어를 신청했다. 결과적으론 썩 나쁘지 않았고 많은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하지만 괜한 나의 성격은 투어 가이드와 좀 떨어져서 멀찍이 따라걸어가게끔 했다.
1) 추기경 친구
바티칸에서의 예술 감상의 정점은 결국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과 천지창조일 것이다. 길고 긴 설명 끝에 두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는데, 관광객으로 시끄럽게 북적거리는 상황에선 역시나 편안한 감상은 힘들었다. 이번 여행에서 두고두고 생각한 거지만, 진짜 주교나 추기경급의 친구를 하나 사귀고 싶었다. ㅋㅋ 그럼 개장 시간 외의 시간에 친구따라 들어가서 홀로 여유롭고 조용하게 감상할 수 있지 않을까.
2) 미술 작품의 감상
최후의 심판과 천지창조를 보면서 생각했다. 위대한 작품이란 무엇일까.
진짜 전공자가 보면 미켈란젤로의 그림이 생동감이라던가 색감이라는 면에 있어서 탁월하게 다를 수도 있을거다. 하지만 솔직히 나는 (그리고 대부분의 관객은) 그런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그리고 그림의 수준 자체가 다른 화가의 그림보다 뛰어나다 할지라도, 사실 최후의 심판과 천지창조를 놓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감탄은 그림의 아름다움 자체보다도 그 규모에 있을 것이다. 그 짧은 시간에 개인이 이렇게나 거대한 작품을 완성했다는 것에 대해 경탄하고 감동받는다. 천지창조를 보고 우리가 나누는 얘기는 - 5분간 천장화를 감상하는 것도 목이 아픈데 어떻게 이걸 목을 젖힌채 5년동안 그렸을까 - 정도의 얘기 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미술작품이 아니라 그 노력에 감동하고 감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만약 우리가 똑같은 규모와 똑같은 수준의 그림을 100명의 화가가 부분부분 나누어 완성했다면,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에 보내는 것과 같은 찬사를 보낼까? 나는 그렇지 않을 것 같았다.
오랜시간 인내하여 완성했다는 사실 자체도 물론 존경할 만한 것이긴 하지만, 그것은 그의 끈기와 인내심에 대한 존경이지 미술적 가치에 대한 존경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러한 끈기와 노력을 많은 사람들이 [못] 발휘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나는 [안] 발휘하는 것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미켈란젤로야 4년이 걸려서 완성했다지만, 다른 모든 환경적 요소들을 누군가 뒷받쳐 줘서 신경쓰지 않을 수 있다면, 나같은 사람도 100년동안 매달리면 천지창조 그릴 수 있지 않을까?
물론 그 100년간의 매달림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여기까지 생각이 닿자 혼란스러워졌다.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은 아마 [하면 안되는 것은 없다]라는 나의 가치관의 영향이 클 것이다. 그렇다면 도데체 나는 그림에서 무엇을 찾고 있는 것일까? 내 논리대로라면 노력으로 뛰어넘을 수 없는 타고난 재능만을 높게 평가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다시금 [하면 안되는 것이 있다]라는, 전제와 모순되는 결론을 낳을 뿐이다.
그렇다면 대체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뭘까? 우리는 미술 작품의 무엇을 보아야 하는 것일까? 오랜시간 인내하여 작품을 완성한 그 인내심? 아니면 정말 타고난 천재성? 미술 작품 탄생까지에 있었던 뒷 배경 이야기? 무엇이 진짜 [미술]일까.
3) 진품
바티칸의 피나코테카의 그림 중에 아주 유명한 몇몇개의 그림은 외부 전시에 대여 중이었고, 덕분에 모조화를 전시장에 걸어 놓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아쉽게 됬다는 가이드의 설명과 그 설명에 아쉬워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다시한번 사람들의 [진품]에 대한 집착에 대해 생각해 봤다. 나는 도데체 묻고 싶다. 진품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똑같은 모조품이라면, 그 진품과 똑같은 미술적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닌가? 진품과 원작자가 갖는 가치는 미술사에서 그 사람이 첫 사람이라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것일 뿐이지, 미술적 가치는 작품만으로 따져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모조품과 진품에 미술적 가치의 차이가 과연 있을까? 그림 제대로 볼줄도 모르면서 뭘 진품을 따지냐고 묻고 싶은게 아니다. 진짜 그림을 볼 줄 안다고 할지라도, 굳이 진품을 따질 필요가 있는지를 묻고 싶은 거다. 이렇게 비유하면 어떨까, 소설책의 초판이 10쇄판보다 우열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고. (물론 수집가들은 이런 점도 따지지만 ㅎㅎ)
4) 베드로 성당
베드로 성당은 거대했다. 그 모든 것들이 대리석이란 얘기에 믿을 수 없었다. 그리고 당연히, 매우 부정적인 나는 면죄부 생각을 했다. 그 정도가 얼마나 심했는지 약했는지를 떠나서, 우리가 알고 있는 나쁜 의미로써의 면죄부 판매를 통해 베드로 성당 건축비를 어느정도 조달한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일거다. 하지만 그런 부끄러운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매해에도 수만 수십만명씩 베드로 성당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은 꾸준히 입장료를 바티칸에 기부하고 있는 거다. 카톨릭 교회라는 단체를 대표하는 성당으로 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남는 건 과정이 아닌 결과일 뿐이라는 그 뻔한 역사적 진실이 정치나 종교나 이렇게도 똑같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왜 사람들은 정치는 지저분하고 종교는 숭고하다고 생각하는 걸까. 그런 베드로 성당을 제일 숭고한 성당인척 엄숙하게 방문하는 사람들도 교황청도 역겨운 기분이 들었다.
아 물론, 지나치게 부정적인 생각이란 것도 잘 안다. 그래서 그냥 번뜩 생각하고 씌익 웃고 말았다. 저런 식이면 떳떳할 수 있는 사람/것은 이 세상에 아무것도 없을거다.
으음... 써놓고 보니 해본 생각들이 다 너무 비관/비판적이네...
그리고 좋았던 작품들.
아테네 학당 The School of Athens, Raphael, 1509–1510, Fresco
그리스도의 변용 The Transfiguration, Raphael, 1516-1520, oil on wood
라오콘 Laocoön and His Sons, Between 160 BC and 20 BC, White marble
벨베데레의 토르소 The Belvedere Tor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