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29)
잡담 (46)
일상 (15)
생각 (11)
(20)
전시 (15)
영화 (4)
CF (9)
연극 (6)
공연 (2)
음악 (1)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수학'에 해당되는 글 2건
2009. 6. 25. 06:32
혈의 누
감독 김대승
출연 차승원 박용우
2009. 06. 21. 일요일 오후 8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티홀에서 출발한 차승원에 대한 관심으로 찾아 본 영화 중 마지막으로 본 영화다. 대충 19세기 조선에서 영화 [세븐]이 펼쳐진다고 생각하면 되는 줄거리인데, 사극이라는 장르 내에서 범죄 수사물을 시도하는 것이 무척 신선했고, 상세한 고증도 좋았다. 거기에 단순한 사극인 것이 아니라 근대로 넘어오는 19세기의 조선을 배경으로 한 덕에 드러나는 시대의 과도기적 특징들도 재미있었고, 또 그러한 부분들이 단순히 극의 배경으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핵심 줄거리를 관통하고 있는 것이 꽤나 맘에 들었다. 2005년의 영화인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새롭고 신선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약간은 우리 영화에 대한 자부심도 가지게 해 주었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쳐지는 상황 전개가 약간은 지루하기도 했다. 그리고 재밌게도, 지금 시티홀에선 차승원과 정략 약혼한 사이로 나오는 김세아가 극중 주요 피해자 중 한명으로 등장한다 ㅋㅋ


사실 정작 하고 싶은 얘기는 -
영화 속에서 이원규(차승원)가 아버지로부터 받았던 질문을 김인권(박용우)에게 소개해 주는 장면이 있다.
지름이 60보인 원에 내접하는 정오각형의 밭이 있습니다. 이 밭엔 3평방보에서 수확되는 보리의 양이 30되 인데, 9명의 소작농이 일년 동안 일해 나온 보리의 8할을 지주가 갖게 됩니다. 어느 해 흉년이 들어 이 밭의 3할에서만 보리가 수확되었다면, 지주가 가져야 할 보리는 몇 섬입니까?
처음 김인권은 (놀라운 암산 능력을 보이며) 34섬이라고 대답하는데, 이원규는 틀린 답이라고 한다. 영화가 한참 진행되고 난 후 다시 둘은 이 질문에 대한 얘기를 나누는데, 김인권은 자기가 실은 답을 알았다며, 지주가 보리를 받지 않아야 한다고 말한다.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으면,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뜨끔 하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저 대화를 보고 그런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얼마전 연극 코펜하겐에 관한 글에서 했던 과학의 가치중립성에 관한 얘기가 떠올랐다. 저 질문에 대해 34섬이라고 대답하면 수학자가 되고, 보리를 받지 않아야 한다고 대답하면 군자君子가 되는 것일거다. 순수한 학문이라 할지라도 그 밑에는 '인간'이 가장 중요한 전제가 되어야 하는 건데, 현실에의 끈을 놓은 채 (혹은 잘못된 현실과의 끈을 가진 채) 학문의 영역 내에서만 살아가다 보면 어느덧 시야는 좁아지고 나도 모르게 지주가 34섬을 받아야 한다고 결론짓게 될지도 모른다. 분명 수학은 가치중립적인데, 군자의 도道는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그렇다면, 나는 수학자일까 군자일까. 저 대사에 뜨끔했다는 건, 이제 고작 학부 2년을 마친 나조차도 그 학문이라는 우물 속에 어느정도 함몰되기 시작했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을까. 앞으로 내 인생에서 마주칠 수많은 저러한 질문들 앞에서, 나는 과연 군자의 대답을 할 수 있을까. 그리고 단순히 대답만 하는 것을 넘어서서, 군자로써 행동할 수 있을까.
2007. 10. 26. 13:03

오늘은 수학 시험을 쳤던 날..
시험장을 나오자 마자 하나 실수 했음을 깨달았다.
100점이 아니면 안되는 시험은 정말 짜증스럽다.
내용을 더 잘 아는가, 더 잘 이해하고 있는가가 아니라 실수를 덜 하냐 많이 하냐 하는 시험은 정말 짜증스럽다.
이곳에서 아직까지 겪어온 시험들이란 다 이런식이니...
200점 만점에 150점 맞고도 감사해하고 기뻐하던 고등학교적 시험이 그립다.
아무리 공부해도 충분히 공부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던 그 기분이
어떤 문제가 나의 사고의 한계를 느끼게 해줄까,
시험문제가 두렵고 짜증남을 넘어 자못 기대되기까지 했던 그 때가.

낮에 있었던 Writing Seminar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쓴 글을 서로 읽은 후 비평하고 의견을 표현하는 워크숍 시간을 가졌다. 자원하는 세명의 에세이를 모두가 읽어 온 후, 다음 시간에 의견을 나누는 방식이다. 감히 건방지게도, 지난 시간 이번 에세이의 워크샵을 하겠다고 나섰었는데;; 나름 만족스럽게 쓴 글이었지만 역시나 다들 콕콕 잘 찔러 주었다. 근데 뭐 다들 맞는 말이었으니까.
그 와중에 어떤 한 논점에 대해 약간의 논쟁이 있었는데, 순간 흥분해 버렸던 나는, 가뜩이나 이상한 나의 영어를 더욱 이상하게 말해버렸다. 흥분한 나머지.
"Do we cannot !@$$#^%"
뭐시기 였던 걸로 기억한다. 하하. 솔직히 에세이는 꽤나 준수하게 썼다. 근데 말은 저따구다. 같이 수업듣는 애들이 뭐라고 생각했을까. 읽기 쓰기는 되고 말하기는 안되는 전형적인 아시아인이구나 했겠지.
순간의 흥분이 가라앉자, 내 말이 얼마나 엉터리였는지 깨달았고, 너무나도 부끄러웠다. 아.. 토론식 수업에서 말로 밀린다는거, 솔직히 한글로였으면 나로써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준비된 논리의 철저성과 사고의 참신함, 다양한 시각 등등 질적인 면에서도 당연 밀릴리 없고, 말빨이라는 기교적 면에서도 절대 밀릴리가 없는 나다. 쩝. 어쩌겠는가. 그래도 계속 애써야지 뭐.
친구들이 내 에세이를 읽고 코멘트 해 놓은 종이들을 토론 후에 모두 다 받았는데, 그 중 한 녀석의 코멘트의 마지막 부분은, 내 모국어가 영어가 아님에도 이렇게 글을 썼다는데 놀랬다는 이야기였다.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 중에서도 이만큼이나 글을 잘 쓰지는 못하는 사람이 많을거라고 했다. 읽고 기분이 좋았어야 하는 코멘트였을까? 내 글에 대한 칭찬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었지만, 저런 낯뜨거운 실수 직후에 읽어서인지 씁쓸했다. 내 생각과 논점, 내 사고와 비판, 인식 능력의 깊이를 말로는 아직 저들에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나를 보고 - 저녀석 생각좀 있는 녀석이야 - 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조각난 나의 영어로부터 나라는 인간 자체가 조각난 것으로 생각 하고 있는 것이다. 내 입 뿐만 아니라 내 사고도 벙어리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저들보다 훨씬 더 깊게 성숙하게 사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 쓰다보니 좀 격해졌네..?ㅎ 뭐 그래도 나쁜 생각 속에 침잠해 있는 것은 아니다. 이 글을 읽는 이들은 모두 나라는 인간을 꽤나 알테니까, 쓸데없는 걱정은 안할거라고 생각한다ㅎㅎ
뭐 좀 기분 씁쓸했어도 - 에구 뭐 다 그런거지. 우야겠어. 계속 애써야지 뭐. 허허. - 하고 넘기는게 나니까ㅎ


요한이형과 맹탕과 소주, 혹은 정모와 신천 동래 파전과 좀쌀 동동주, 재형, 강섭과 어은동 투다리와 꼬치 모듬 세트, 혹은 기원형과 할리우드와 롱아일랜드아이스티, 혹은 용현과 삼성역과 둘둘치킨이 그리운 순간이다.
조금이나마 내가 만든 벽들을 허물 수 있는 그런 순간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