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29)
잡담 (46)
일상 (15)
생각 (11)
(20)
전시 (15)
영화 (4)
CF (9)
연극 (6)
공연 (2)
음악 (1)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봄'에 해당되는 글 2건
2012. 5. 29. 15:30

돌이켜보면 올해 겨울은 유난히 길었습니다.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1월은 영하 20도를 밑도는 지독한 추위였어요. 하지만 그것도 며칠, 2월이 채 되기도 전에 포근한 날씨가 찾아왔지요. 이타카의 겨울이라기엔 너무 따뜻했던지라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괜한 걱정과 이른 봄에 대한 섣부른 기대감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곤 했습니다. 그렇게 맞이한 3월 말 봄방학은 마치 초여름 같았어요. 이른 봄꽃이 만개하고, 저도 여름옷을 꺼내고 겨울옷을 정리해 넣었습니다. 하지만 좋았던 날씨도 일주일 남짓, 다시 찾아온 추운 날씨가 4월 말까지 이어지더군요. 중간에 봄같은 며칠이 한두번 있었지만, 금새 다시 추워졌어요. 가짜 봄에 속아 꺼냈던 여름옷은 그때까지도 입지 못했고, 정리했던 겨울옷들은 고민고민하다 다시 꺼내 입고 그랬습니다. 아직도 입고있는 두꺼운 파카가 어찌나 무겁던지요... 그래도 크게 불평하지 못했던 건, 그 가짜 봄에 저와 함께 속았던 봄꽃들 때문이었을 겁니다. 만개했다가도 다시 얼어붙어 어지러이 떨어져버린 꽃들이 어찌나 처량해보이던지... 어디 숨지도 못한채, 찾아오는 날씨를 그저 온몸으로 받아내는 나무들의 모습에선 숭고함마저 느껴졌습니다. 속으로 - 제대로 안추웠던 대신 얇고 길게 춥구나 - 그럼 설마 5월까지 추운건 아닐까 걱정했지만, 그래도 다행이었던건 결국엔 봄이 찾아왔다는 사실이었죠.

돌이켜보면 제 지난 5년도 그랬던것 같아요. 고등학교 졸업 후 미국 출국 전 까지의 여행같았던 시간들, 짧았지만 지독했던 미국에서의 첫 1년, 그리고 이어진 얇고 길었던 못난 시간들. 봄방학처럼 중간중간 이제 봄인가 헷갈렸던 시기들도 있었지만, 다 가짜였어요. 그런 짧은 가짜 봄이 끝날때마다 추위는 늘 돌아왔고, 그래서인지 어쩌면 다시는 봄이 오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했던것 같네요. 어리석게도 말예요.


그렇지만, 봄이 왔어요. 

그리고 겨울 이후의 모든 봄이 그런 것처럼, 너무나 마법같습니다.

기다리는 연락도, 반가운 전화도 없었기에 늘 무음으로 놔두었던 휴대폰을 진동으로 바꿨어요. 잠결에 들리는 진동소리가 이젠 짜증스럽지 않고 반갑기만 합니다. 100개도 채 쓰지 못하던 문자는 1000개 요금제로 바꿨습니다. 아침에 눈을 뜨면 가장 먼저 문자부터 보내게 되네요. 별다른 추억 없이 공부한 기억으로만 가득찬 대학생활이 될 줄 알았는데, 지난 한 달 간의 추억이 그 전 3년간의 추억보다 더 많아요. 캠퍼스에 피는 벛꽃이 이렇게 이쁜지도 몰랐고, 조금만 학교를 벗어나면 볼 수 있는 이쁜 공원과 맛있는 식당들도 졸업 전에 가보게 될 줄 몰랐습니다. 제 마음 속 꽃들이 너무 오래 피지 못해 다 없어졌는줄 알았는데, 봄을 맞아 활짝 폈어요. 


그리고 이젠 여름이네요. 

마법의 봄을 시기하듯 쏟아지는 따가운 햇빛은 사실 더 큰 열매를 맺기 위한 과정이라고들 얘기합니다. 얼마나 긴 여름일지 모르지만, 이 여름도 아마 그런 의미일 거에요. 그렇지만 하나 다른 점이 있다면, 이 여름의 끝엔 낙엽이 지는 가을도, 얼어붙는 겨울도 없을 거라는 사실입니다.

2009. 4. 28. 05:22
다른 학자들이 멀리 떨어진 두 물체가 서로 어떻게 힘을 주고 받을 수 있느냐를 따질때 뉴턴은 그냥 힘은 거기에 있다고 가정하고 그것을 서술하는 것에 집중하면서 고전역학이란 학문을 가능하게 했다.

다른 학자들이 대체 에너지가 양자화되어 있다는 것이 어떻게 말이되냐를 따질때 플랑크는 그러면 모든게 설명되는데 뭐가 문제냐고 말하면서 양자역학은 시작됬다.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는 모든 관성계에서 일정하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고 가정함으로써 특수상대성이론을 시작했고, 또 (어쩌면 질량의 정의 자체로부터 너무나도 당연한) 중력과 관성력은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을 증명하려 하지 않고 그렇다고 인정함으로써 일반상대성이론을 시작했다.

그때까지의 모든 철학자들이 우리가 보는 세상과 실제 세상이 일치하냐 마냐를 지리멸렬하게 따질때 칸트는 인간의 인식능력의 한계를 인정하고 그 두 세계를 분리함으로써 인식론이 다시금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그렇다. 기술적인 부분은 주어지면 누구나 해 낼 수 있는 문제일 뿐이다. 중요한 건, 내가 저들처럼,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창]을 열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기존의 방법론 내에서 이룰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그 한계를 넘어서려면, 저렇게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해야 하는 거다. 그래야, 저들처럼 된다.




4월도 어느덧 다 흘렀다. 변덕스런 이타카의 날씨도 이제 비로소 안정적인 봄이라 할만하다. 다른 무엇보다도 학생들(특히나 여학생들)의 기분과 옷차림에서 이젠 정말 봄이 왔다는 걸 알게 된다. (^^) 집 앞 잔디 색깔도 언제부턴가 유난히 푸르다.

수업이 지루해질때면, 쟤는 왜 저걸 저렇게 밖에 설명을 하지 못할까 - 하는 생각이 들면, 가만히 창밖을 쳐다본다. 투박하게 창틀에 걸리는 데로 풍경을 잘랐을 뿐인데, 살랑살랑 불어오는 바람과 함께여서인지 창밖 풍경은 그 어느 사진 속 장면보다도 더 조화롭다. 그냥 쓰윽 흘려보기에는 너무 아까워 마음속으로나마 그 장면을 받아그려보곤 한다.

며칠전, 우연히 인터넷 신문에서 어떤 불문과 학생의 푸념을 읽었다. 인문학의 위기, 문사철 수업들의 폐강, 강의실 속의 신자유주의에 관한 이야기였다. 문제의식이야 나도 늘 갖고 있지만, 솔직히 말해서 이젠 조금 지루한 얘기들이다. 그런 공부를 하려는 학생들도 없고, 한다고 해도 취업도 안된다고 하는데....... 에라이 내가 알바 아니다.

반가운 봄 햇살 앞에서, 오늘도 나는 그저 [순수 이성 비판]을 읽으며, 꾸벅꾸벅 졸면 되는 거지 뭐.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