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129)
잡담 (46)
일상 (15)
생각 (11)
(20)
전시 (15)
영화 (4)
CF (9)
연극 (6)
공연 (2)
음악 (1)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4. 9. 18. 19:43

초등학교 6학년 겨울방학. 중학교 배치고사를 앞두고 어머니와 누나들은 내게 필승 전략을 알려주었다. 간단했다. - "배치고사 문제집 10권 풀면 수석한다!" - 3일에 한 권씩 한 달간 10권의 문제집을 풀었고, 그렇게 입학식 때 교단 위에서 선서를 했다. 

중학교 과학경시대회를 앞두고는 역대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었다. 세 번째에 이르자, 계산기를 두드리지 않아도 소숫점 둘째 자리까지의 답이 기억이 났다. 특정 숫자들이 주는 그 묘한 익숙함. 그렇게 대회가 끝난 얼마 후 중앙일보엔 내 이름이 실렸다.

고등학교 2학년, 매 시험마다 미적분학 성적이 항상 A0 수준을 넘지 못했다. 해당 범위 모든 연습문제를 풀었는데도 안되는 건 안되는 것일까, A+를 받은 친구에게 대체 너는 어떻게 공부했냐고 물어보았다. 그러자 그 친구는 간단히 대답했다. - "두 번 풀었어." 


언젠가부터 뒤쳐져 있다는 기분이 많이 든다. 대학원에 오면서 경쟁과 비교의 범위가 같은 학년 친구들보다 훨씬 더 넓어져버렸기 때문이기도 하고, 실제로 앞서나가는 같은 학년 친구들보다는 뒤쳐졌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연구의 세계는 단순히 무언가를 익히는 것을 넘어 이른바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라고는 하지만, 요즘같이 고도로 발달한 학문의 세계에서, 특히나 수직적 특성이 강한 학문에서라면 진정 창의성이 유의미해지는 것은 대학원 고년차 혹은 박사후 과정이 되어서야 가능한 얘기 아닐까. 어찌됬든, 지금 당장 창의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한들 부족하고 모르는 기초가 너무 많다. 

사실 난 '창의성'이란 개념을 믿지 않는다. 혹은 내가 그렇게 창의적인 학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내가 이룬 학업적 성취라는 것들은 돌이켜 보면 유난한 번뜩임이었기보다는 비효율과 미련함에 더 가까웠다고 하는게 정확할 반복학습의 결과였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뒤따라온 좋은 성과들이 반복의 지루함을 소급해서 미화한 부분도 없지 않겠지만, 사실 반복 과정에서 늘어가는 그 '익숙함'이 주는 즐거움도 컸다. 무언가를 '아는' 정도가 아니라 완전한 내 지적 통제와 소유의 범위 안으로 넣는 것. 악보를 보며 떠듬떠듬 치던 곡을 눈을 감고도 자유롭게 연주하고, 강약이나 리듬의 미묘한 조절까지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되는 건 정말 반복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거니까.  

하지만 학년이 오르면서, 그렇게 무식하게 공부하기에는 양과 범위가 너무 많다는 핑계만 점점 늘었다. 효율적 공부랍시고 이런저런 계획을 세우는데나 시간을 더 쓸 뿐 정작 실제 공부량은 줄었고, 두세 시간 앉아 있었으면 이제 좀 쉬어도 되겠지- 하는 적당주의에 익숙해졌다. 그러면서 아마, 내 반짝임이 조금씩 조금씩 바래왔을 것이다. 다시 반짝이고 싶다. 그래서 다시 무식해지려고 한다. 


농담처럼 사람들에게 허생의 마음으로 박사과정을 보낼 것이라고 말하곤 했다. 10년 공부를 채우고 세상을 바꾸려던 허생은 아내의 바가지를 이기지 못하고 7년 만에 책상을 박차고 나와 조선 최고의 거부가 됬다. 비록 계획된 나머지 3년을 채우지 못해 세상을 바꾸진 못했지만, 그런 허생도 아마 사서삼경 정도는 줄줄 외웠을 것이다. 내가 그 '10년'을 채울지, 아니면 '7년'에 참지 못하고 책을 덮을지 아직 모르겠지만, 어찌되든 나도 '사서삼경' 정도는 눈감고도 읊어야 겠다. 어디가서 허생 따라했다고 명함이라도 내밀라믄 ㅋㅋ

2013. 9. 18. 00:50

'애는 쓰는데 자연스럽고, 열정적인데 무리가 없어' - 미생 82수

오랜만의 긴 한국에서의 여름, 그동안 못만났던 많은 사람을 만났다. 4년전엔 그 친구 눈에 나는 분명 반짝거리는 아이였는데, 이번 만남에서는 잔뜩 때가 낀 녀석일 뿐이었던 것 같다. 6년만에 만난 어떤 친구는 그 사이에 겪은 경험들, 생각들이 너무나 감탄스러운 멋진 청년이 되어있었다. 이렇게 멋진 녀석과 친구라는 사실이 좋기도 했지만, 왠지모를 그 묘한 기분이란. 2년만에 만난 은사님은 내게 여유를 가지라는 말을 거듭하셨다. 이미 주어진 것들만 해도 너무나도 풍요로운 것이라고..

인생의 단계마다 나름의 결심이 있었다. 수도권의 사교육에 공포감을 느꼈던 고등학교 입학때에는 '서울애들 보란듯이 이겨보자' 정도였던것 같고, 유학이라는 거대담론 앞에서 숨을 고르던 대학 입학때에는 '뭐든지 가능한 대학시기 알차게 보내자'였다. 군 입대 때에는 거창한 출사표인양 '태산은 흙을 사양하지 않고 큰 강과 바다는 물줄기를 가리지 않는다.'라는 사기 이사열전의 말을 인용했었고, 복학시기엔 '대학교 1,2학년때의 후회/아쉬움을 되풀이 하지 말자' 정도의 결심을 했다. 돌이켜보면 어처구니 없는 걱정이었던 것도 있고 민망한 과대포장도 있지만, 결국은 그 시기 나의 화두를 담은 결심들이었을 것이다.  


이제 박사과정을 시작한다.

매진과 여유는 언뜻 보면 서로 반의어 같지만, 분명 그 둘의 교집합이 존재한다. 열심이지만 그 이유가 집착이나 의무가 아닌 즐거움이라면, 마음의 넉넉함이 알뜰한 시간관리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그게 바로 그 교집합을 찾은것 아닐까. 쉴 땐 친구와 영화도 보고 노래방도 가고 술한잔도 하면서 지낼테지만, 제대로 쉬지도 않고 멍하니 컴퓨터나 스마트폰 화면이나 쳐다보고 있는 시간은 만들지 않겠다는 얘기다. 놀거리마저도 없는 시간엔, 책을 펼치자. 그 책이 내 놀거리가 될 때 까지. 그게 내 박사과정에 대한 기억이 될 때 까지.

2013. 6. 7. 05:12

기숙사 방에서 숙제다 뭐다 해서 밤을 샐 때면, 밖이 밝아지는 것보다 새 지저귀는 소리가 먼저 들렸다. 아침은 눈이 아니라 귀로 먼저 찾아왔다. 새들은 어떻게 그렇게 감쪽같이 아침 오는걸 알아채리는 걸까. 어쩌면 새들이 아침에 더 우는 것이 아니라 그저 새벽이 주는 고요함에 지저귐이 더 잘 들릴 뿐인지도 모르겠다. 아니, 아마 그 둘 다 일 것이다. 


늦은 숙제를 교수실 문 밑으로 밀어넣고 방으로 돌아가는 길에는, 새벽을 시작하는 사람들에 무임승차해서 나도 슬쩍 그 상쾌함을 따라하곤 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론 새벽의 그 치열한 신성함 앞에 왠지 모를 부끄러움을 동시에 느꼈다. 



시차적응이 덜 되 새벽 세시에 깨버렸다. 멀뚱멀뚱 이불 밑에서 삼십분을 뒤척이다 결국 책을 한 권 펼쳤다. 오랜만에 읽는 한국어 소설이 반갑다. 그러다 유난히 선명한 뻐꾹- 소리에 창을 보니 하늘이 말갛게 밝아온다. 서로 듣고 박자를 맞추는 것도 아닐텐데, 십 여 분 간격으로 서로 다른 새들이 차례로 동참하더니 뭔가 협주곡을 듣는 기분이다. 그 소리에는 왠지 모를 청량감이 있다. 뻐꾸기가 아침을 알린다는 건 까치머리시절부터 알았지만 직접 내 귀로 듣는 건 아마 처음이었던 것 같다. 아니면 이제야 이 소리가 들릴 만큼 자란걸까. 기숙사에서 밤을 새며 익숙해진 그 소리와는 분명 다른 소리인데, 이건 다른 내 마음 가짐 때문이 아니라 진짜 다른 새이기 때문일 것이다. '내 공간'들에 붙일 표식지 종류에 새벽 새 소리도 추가해야할까보다. 


이번 여름에 뻐꾸기 소리를 꼭 들었으면, 그래서 오는 가을이 아침이면 좋겠다.